NAS, Server

A collection of 76 posts
[Proxmox VE] No valid subscription 제거(없애기)
nas

[Proxmox VE] No valid subscription 제거(없애기)

proxmox는 오픈소스이지만, Enterprise 저장소와 지원을 하는 구독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무료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 웹 콘솔을 로그인 할 때마다 구독하라는 메시지를 보게 됩니다. 홈서버를 운영하는 입장에서 구독은 좀 부담스럽습니다.(연간 약 10만원 정도) 매번 클릭한번 더 해서 이용하는게 조금 번거로우니, 스크립트를 조금 수정해봅니다. 일단 proxmox 관리자 페이지에서 쉘로 진입합니다. 아래 내용을
2 min read
[Synology] 시놀로지 도커 nginx proxy manager에서 IP 전달 제대로 시키기
NAS, Server

[Synology] 시놀로지 도커 nginx proxy manager에서 IP 전달 제대로 시키기

사무실에서 굴리는 그누보드 사이트 몇개를 시놀로지 기본 웹스테이션을 사용하다가, 데이터 통백업의 편리함 등 유지보수의 편의, 최신 버전의 사용 등의 이유로 도커로 이전을 시켰습니다. 몇가지 문제가 있었지만, 대부분 수정을 했는데, 마지막, IP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동일한 docker-compose를 사용했을 때 다른곳에선 제대로 됐는데… 시놀로지에서만 안되니 환장할 노릇이었습니다. 도커 IP
2 min read
docker

[Synology, Docker] mariadb 백업하기(네이티브, 도커)

시놀로지에서 mariadb를 작업 스케줄러를 이용해 매일 백업하는 방법입니다. 시놀로지 네이티브인 경우와 도커에 올린 경우 모두 간단하게 작업 스케줄러에 스크립트를 등록해 자동 백업을 하고,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파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mariadb를 패키지로 설치한 경우 mariadb의 백업은 아래 명령으로 처리합니다. mysqldump -u root -p'rootpassword' -A > ${BKPATH}/$(date
3 min read
NAS, Server

[Synology] 백업시 외장하드 자동 켜기(자동 마운트)

이전 글 에서는 시놀로지 외장하드를 자동으로 끄는 기능에 대해 글을 썼습니다. NAS는 만능이 아니므로, 항상 백업을 해 줘야 합니다. 백업의 중요함은 항상 강조해도 모자람이 없지만, 바쁜 일상애서 매일 백업을 하는건 여간 귀찮은 작업이 아닙니다. 시놀로지 나스에서 백업 완전 자동화를 위한 스크립트입니다. 하지만 외부 HDD가 전원 공급을 USB로만 받는다면, 이전 방법으로는
4 min read
backup

[Synology, HomeAssistant] 시놀로지 외장하드 백업 후 자동끄기

저는 시놀로지 나스에 2개의 외장하드가 USB로 연결되어있고, 이 두개의 디스크에 나스에 보관된 자료를 백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중 중요한 데이터는 사무실 나스로 원격백업을 하고 있습니다. 시놀로지 나스 네이버 카페의 코러스 님께서 올려주신 백업후 자동 마운트 해제 후 재연결 스크립트가 있습니다만, 이 방법은 전원차단이 되지 않기 때문에 완전 격리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4 min read
[Synology] 시놀로지 Video Station, Media Server DTS, EAC3, TrueHD 패치
dlna

[Synology] 시놀로지 Video Station, Media Server DTS, EAC3, TrueHD 패치

이전 글에서는 AlexPresso 님의 patcher를 사용했습니다만, 이번엔 VideoStation과 DLNA를 한방에 패치해주는 방법입니다. AlexPresso 버전 https://github.com/AlexPresso/VideoStation-FFMPEG-Patcher – Video Station https://github.com/AlexPresso/mediaserver-ffmpeg-patcher – MediaServer(DLNA) darknebular 버전 https://github.com/darknebular/Wrapper_VideoStation/ SSH로 접속해서 sudo -i를 입력해 루트권한을 획득한 후에 아래 코드를 넣으면 끝입니다. bash -c
1 min read
{{#is "post"}} {{/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