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나비 T1000 설치후기 및 장단점, 유심등록 오류시 방법

아이나비 T1000 설치후기 및 장단점, 유심등록 오류시 방법

LTE방식의 블랙박스, 아이나비 T1000을 설치해봤습니다. QXD8000, QXD7000 대비 하위사양이지만 액정이 없는 빌트인캠 형태의 디자인과 LTE통신방식을 채용한 부분이 마음에 들어 구매를 했는데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반절의 성공이었습니다.

사실 신제품도 아니지만, 얘는 정보찾기가 너무 어려웠어요.

제품 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inavi.com/Products/BlackBox/Gate?target=_T1000

아이나비 T1000의 장점은3가지입니다.

  1. LTE방식의 통신으로, 실시간 충격알림의 ‘영상’을 휴대폰에서 받아볼 수 있다. 실시간 박튀 감지가능, 실시간 전압 확인가능, 전압확인 후 블박끄기 등 가능.
  2. WIFI모듈 탑재로 휴대폰 연동을 통해 원본 영상을 다운로드하기 쉽다.
  3. 통신 모듈, GPS가 모두 탑재되고, LCD가 없어 깔끔한 설치가 가능하며, 추가 악세사리 구매비용이 들지 않는다.
  4. SOS버튼을 누르면 영상 다운로드가 가능한 문자가 지정된 번호로 날아간다.
  5. 삼성화재의 경우, 커넥티드 블박 특약이 따로 있으며, 장착시 6% 할인혜택이 주어짐.

사실 아이나비 T1000의 스펙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닙니다. 4K 블랙박스가 나오고, QHD 블랙박스가 일반적인 요즈음, 전후방 30프레임의 FHD화질은 그리 매력적이지 못합니다. FHD라고 하더라도 60프레임이 지원된다면 좀 다르겠지만요.

제품의 설치쿠폰을 제공해주지만, 예약잡고 하기도 귀찮고.. 직접 할 수 있는 부분이라 직접 설치를 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품의 영상 비교는 없습니다. 제가 사용중인 70mai A800과 QXD7000, 그리고 T1000의 감성적인 영상품질 평가만 있습니다. 영상을 보고 싶은 분들은 다른 글을 보시기 바랍니다.

아이나비 T1000 개봉

아이나비 T1000을 두개 구입했습니다. 봉인씰 일부 뜯어진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이나비 T1000 구성품

본체, 후방캠, 유심, 케이블과 거치대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블랙박스와 다르게 거치대가 유리에 밀착되는 구조로, 사고시 카메라가 꺾여서 상황을 볼 수 없다던가 하는 일은 적겠네요.

아이나비 T1000은 LTE망을 사용하며, 1년간 무료 사용 혜택이 주어집니다.
QXD7000을 구매하며 커넥티드 프로 옵션을 선택하면 가격이 50만원대에 달했던 점을 감안하면 30만원 초반에 구입할 수 있는 T1000은 합리적인 가격이긴 합니다.

아이나비 T1000 본체

2022년 10월 생산제품이네요.

아이나비 T1000 본체

제품을 구매하고서야 알았지만, 이 제품은 전면에 시큐리티 LED가 없습니다;;;
제품 하단부에 LED 넣어서 왔다갔다하면 깔끔하고 예쁠 것 같은데 말이죠.

제품의 특성상, 설치 후 카메라의 각도조절이 굉장히 어렵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측면에 카메라 각도 조절을 해줄 수 있도록 홈이 있습니다. 우측의 커버를 열면 각종 케이블을 꽂을 수 있는 단자가 있습니다. 설치시 정말 깔끔하게 설치가 되는게 최고 장점같습니다.

아이나비 T1000

제품의 후면에는 마이크로SD카드가 꽂혀있으며, 유심 삽입 슬롯이 있습니다.
전원을 끄거나, 메모리카드를 강제로 제거할 수 없도록 하는 락킹을 별매로 하고 있는데.. 15,000원입니다. 필요하시다면 구매를 고려해도 될 것 같습니다.

아이나비 T1000

실제 사용시 쓰게 될 조작부입니다. WIFI와 LTE 작동표시등이 있으며, 발열제어를 위한 홀이 있네요.

유심은 U+ 심입니다.

아이나비 T1000 설치

블랙박스 설치를 벌써 10번은 넘게 해 본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차량이 고만고만한데, 해치백이나 SUV의 경우 해치쪽으로 전선을 넘겨야 합니다.
이때 주름관을 통과해줘야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정리가 가능한데, 가끔 설치기사들이 손이 가서 그런지 그냥 웨더스트립에 물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시공을 맡기는 경우 꼭 주름관 통과를 해달라고 해야합니다.
최악의 경우 선이 계속 눌려있어 단선의 위험도 있고, 웨더스트립이 뜨게 되어 물이 새는 현상이 생길수도 있지요.

혼자 설치를 했던 터라, 설치 완료사진뿐입니다. 블랙박스 설치 난이도는 선정리가 번거롭지, 어렵지는 않습니다.

LCD가 없는 제품으로, 아이나비 블랙박스 Link 를 사용해서 라이브뷰로 화면을 보며 설치해야합니다. 전면 설치할땐 좀 번거로울 수 있지만, 후면 설치할땐 훨씬 편하죠.

아이나비 T1000 설치완료

아내차 아베오에 설치해봤습니다. 룸미러 뒤에 설치해서 보통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아이나비 T1000 설치완료

이렇게 설치합니다. 선정리가 깔끔하다는게 최고장점입니다.

아이나비 T1000 설치완료

순정같은 빌트인캠을 원한다면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깔끔한 아이나비 T1000, 하지만..

하지만, 역시 리뷰는 까야 제맛이죠. 연동에서 겪었던 문제와 단점에 대해 쓰려고 합니다.

첫번째. 연동(개통)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습니다.
제품 설치후 전원 인가 -> 앱에서 유심을 등록하라고 하지만 등록이 되지 않습니다. 전원을 여러번 껐다 켜도 마찬가지입니다.

고객센터에 글을 남겼더니, 제품 보내보랍니다. 이거 받은지 이틀된건데..

개통실에서 잠시 일했던 경험 상, 이런건 유심의 상태를 먼저 확인해야합니다. 다른곳에서 오입력으로 개통이 되어버린다던지 하는 이유로 CTN(번호)가 먼저 나와버린 경우라던지요.

일단 퇴근시간이라 고객센터로의 전화는 다음날 하기로 하고, 아이나비 블랙박스 Link 앱에서 wifi 연동을 시도해봅니다.
앱에서 하란대로 했는데 안됩니다. 설명서 찬찬히 보니 기본 패스워드가 있답니다.
설명서 대충본 제 탓이죠. 앱에서 안내해줬으면 좋았을텐데요.

아이나비 T1000의 wifi 기본 패스워드는 123456789 입니다. 많이 사용하는 12345678은 시도해봤는데. 하나만 더 넣을걸 그랬습니다.

만약 AdGuard 등의 광고차단 앱, 추적 방지 프로그램 등을 사용한다면 연결이 제대로 안될 수 있습니다. 제 경우 Adguard를 켜둔 상태에서 연동이 되지 않았습니다.

wifi는 2.4G, 5G대역 모두를 지원합니다. 5G대역이 조금이라도 더 빠르니 5G로 설정합니다.

전용 링크 앱의 경우 라이브뷰가 좀 많이 느립니다. 70mai가 한박자 늦는 느낌이라면, 아이나비 T1000은 세박자쯤 늦습니다.

영상을 다운로드 하고, 바로 갤러리에서 확인할 수 없고, 내보내는 과정이 한번 더 필요합니다.

커넥티드 연결 오류, 그리고 해결

제품을 발송하기 전에, U+ 고객센터로 연락해 개통 문제에 대해 문의를 했으나, 아이나비 고객센터로 넘겨버립니다.

아침 일찍 연락해서 그런지 상담원 연결은 전체적으로 수월했어요.

상담원에게 증상설명을 하고, 유심 상태 조회를 부탁드렸는데 상담원 쪽에서 개통진행을 해보겠다고 합니다. 바로 진행이 되었고, CTN(번호)발급이 완료되었습니다.
상담원이 내용을 잘 알고 있는 편이라서 설명을 많이 안해도 됩니다. 연결 안되면 일단 아이나비 고객센터로 ‘전화’문의하세요. 게시글은 그냥 아몰랑 보내! 느낌입니다.

차에서 블랙박스 전원을 두번쯤 껐다 켜면 번호등록 하라고 하고, 앱에서 등록하면 연동 완료됩니다.

그래서, 이거 사 말아?

빌트인캠 스타일의 가성비 괜찮은 wifi연동이 가능한 블랙박스를 원한다면 좋은 선택입니다.

아래 단점을 감수할 수 있다면요.

  1. LTE방식이라 좋지만, 전송횟수의 제한이 있음(영상확인 월 30회)
  2. LCD가 없는건 장점이자 단점입니다. 뭔가 할때 항상 휴대폰을 연결해야만 합니다.
  3. 1항의 통신요금이 기존 방식 대비 더 비쌉니다. 1년간 무료지만 이후 연간 5만원 정도 발생됩니다.
  4. 결정적으로, LTE방식이지만 타 유심 사용이 안됩니다. 데쉐심을 쓸 수 있으면 사실상 데이터 무제한의 커넥티드 블박이 되는건데, 타 유심으로 단말기변이 되는것으로 보이나, 앱에서 사용이 불가합니다. 결국 1년간의 무료사용 기간이 종료되면 돈내고 계속 쓰거나, wifi로 휴대폰 연동해서 써야만 한다는거죠.
  5. 상대적으로 화질이 떨어집니다. 커넥티드 기능, 상시녹화 기능을 제외하면 70mai A800이 화질면에서도, 조작 편의성에서도 월등합니다.
    70mai A800은 일반 휴대폰의 보조배터리를 이용해 보조전원을 넣어주면 상시녹화도 가능하죠.
    실 주행 영상으로 확인해 본 결과, 주간화질은 A800이 넘사벽으로 좋습니다. 야간은 A800과 QXD7000이 극적인 차이가 나진 않습니다. 스펙상 QXD7000, 8000은 후방 카메라가 조금 다른 정도라서, QXD8000이라고 하더라고 A800보다 주간화질이 좋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6. 시큐리티 LED가 후방에만 적용되어있으며, 본체 조작버튼 역시 백라이트가 없고, 버튼에 따로 돌출된 표시같은것도 없어서 뭘 하려면 더듬어서 버튼숫자를 세고 눌러야 합니다.
  7. link 앱이 좀 어리버리합니다. 전혀 빠릿하지 않습니다.
  8. 이건 단점이라긴 애매합니다만, 처음 시작 시 ‘주차 중 모션감지 ㅇㅇ건, 충격감지 ㅇㅇ건이 발생하였습니다’ 라는 안내를 하는데, 주차 중 모션 감지 이렇게 멈칫합니다. 굳이?!

저는 LTE 데쉐심을 쓸 수 있냐 없냐가 굉장히 중요한 구매포인트였기 때문에,
이미 구매하고 장착 완료한 아베오는 그냥 쓰겠지만, LTE 데쉐심이 사용 불가능한 관계로 나머지 한개는 반품해야겠네요.

{{#is "post"}} {{/is}}